|
민법 (고시연구사 2004)
권순한, 요해민법 II (도서출판 학우 2004)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불법원인급여에 대한 논점의 정리
I. 서설
1. 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법원인급여의 규정인 민법 제746조에서의 불법이라 함은 민법 제103조에서의 선량한 풍속 기타 반사회질서의 행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대상 판결을 포함해서 판례는 일관되게 "표리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하여는 그 범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103조의 요건
1. 객관적 요건
2. 주관적 요건
3. 반사회성 판단의 시기
IV. 반사회적 법률행위의 효과
1. 절대적 무효
2. 급부의 청산
(1)서설
(2)불법원인급여의 적용여부
1)불법원인급여의 의의
2)불법의 개념(제103조와 제746조의 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인급여에 있어서 불법의 원인이 급여자에게만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불법의 원인은 급여자와 수익자 쌍방에게 모두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법 제746조 단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746조가 불법의 원인으로 인하여 재산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 그 이익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것은, 그에 대한 법적 보호를 거절함으로써 소극적으로 법적 정의를 유지하려고 하는 취지이므로, 위 법조항에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