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는 유당 부이온 lactose broth을 넣은 발효관을 35- 37℃에서 2시간 정도 배양하여 가스발생이 있는 시험관을 양성시험관으로 보고 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가스발생여부는 다람발효관 Duhram tube를 거꾸로 놓아 확인한다.
-생균수 측정방법의 한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제 조건으로는 세 포내 ATP 함량이 모든 종류의 미생물에서 동일해야만 품질 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실험 목적
2. 실험 재료
3. 실험 방법
(1) 희석하기
(2) 평판배지에 옮기기
4. 결과
◆ 총균수 개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5~250개 사이이다.
생균수 측정으로 얻어지는 집락의 수는 접종량(inoculum size)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배지의 적합성과 배양조건 등이 영향을 미친다. 또한 2개 이상의 균이 뭉쳐서 하나의 집락을 형성한다면 실제 균수보다 적게 측정된다. 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004), 「식품미생물학」, 신광출판사
한국 바이오 벤처협회 표준(2006),「유산균 검출 및 계수방법」
(식품미생물학실험)
실험보고서
- 생균수 측정 -
(Viable cell count)
담당교수님 : 교수님
제출일 : 2008. 04. 07.
제출자 : 식품공학과 1. Introduction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도 다른 측정법을 이용할 수 없거나 많은 시간과 조작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1. 현미경 직접계수법(direct microscopic count)
2. 생균수 측정법(viable count)
1) 평판계수법(plate count)
2) MPN법(most probabl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