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관을 옹호, 강조하였던 기존의 사관을 비판한 부분이 두 인물의 공통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2) 이익과 안정복의 비교
안정복은 생전에 자신만의 사론을 집대성한 역사서를 집필하였지만, 이익은 자신만의 독립된 사서를 만들지는 못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학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서적들도 출간이 되게된다.
이익은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비판하여 민족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높이려 하였다. 이익의 제자인 안정복은“동사강목”에서 중국 중심의역사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6.2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관에서 도덕과 역사는 분리되었다는 입장이 있었다. 실제 이익은 정통과 도덕을 분리하거나, 시세의 흐름이 대세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이라는 언급을 하기도 했다. 일견 이러한 언급은 이익이 개인의 도덕성보다는 역사를 움직이는 대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관을 비판 하며 안정복, 정약용, 한치윤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이런 역사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각 지역의 자연 환경과 물산, 풍속, 인심등을 서술하는 이중환의 택리지도 편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례(凡例)」
「진고려사전(進高麗史箋)」
「동사강목 서(序)」
「동사강목 범례(凡例)」 1. 서술목적의 공통점과 차이점
2. 화이관의 반영 - 명분적 역사관과 자주적 역사관.
3. 정통론의 차이
4. 객관적 역사와 고증적 역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