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행합일설
주자의 선지후행에 반대하여 지행합일을 주장한다. 앎은 필연적으로 행을 수반하고 행위가 동반되지 않은 앎은 진정한 앎이 아니다. 지행은 서로 의존하고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니 지행은 병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합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행합일을 나타내고 있다. 거리에 침을 뱉는다든가, 버스에서 자리양보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이기적이든 잘못 판단하고 있든 간에), 그대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지행의 괴리라고 일컫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3.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행합일의 종착점이다. 아울러 明德과 親民의 통일은 知行合一의 또다른 설명방식이다. 「명덕을 밝히는 것은 본체요, 백성을 사랑하는 것은 작용이며 至善에 머무는 것은 그 요점이다」
) 『王陽明全書』 卷8, 文錄5, 書朱子禮卷, 「… 是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예문서원, 1994
정동국 외, 공자와 양명학, 태학사, 1999 Ⅰ. 양명학의 개념
Ⅱ. 양명학의 역사
Ⅲ. 양명학의 지행합일설
Ⅳ. 양명학의 치양지설
Ⅴ. 양명학의 만물일체론
Ⅵ. 양명학의 비판
Ⅶ. 양명학과 창조정신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룸으로써 사물은 바르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는 주자가 '격물치지'의 격(格)을 지(至)로 해석해서 '사물에 나아가 이치를 궁구한다'는 즉물궁리(卽物窮理)로 이해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3)지행합일설(知行合一設)
왕수인은 앎과 실천, 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