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중하며 이를 취소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다만 제 1심 판결의 선고를 받은 자에게는 취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고소의 주관적 불가분의 원칙에 반하고 고소권자의 선택에 의하여 불공평한 결과를 초래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소불가분의 원칙을 준용해야 한다는 적극설33)이 있으나,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촉진하려는 반의사불벌죄의 입법취지상고소불가분의 원칙이 준용되지 않는다는 소극설(다수설 판례)이 타당하다.
관련판례
「형사소송법」이 고소와 고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소불가분의 원칙과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이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본다(다수설). 따라서 법원은 공소기각판결을 하여야 한다(제327조 제2호).
참고문헌
이재상, 조균석 저,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5
신호진 저, Master 형사소송법 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소송법의 개요
수사 제도의 개요
수사의 개시
수사의 실행
임의수사
강제수사
강제수사에 대한 규제
고소불가분의 원칙
공소시효 제도
공소장일본주의
공소제기의 효과
변호인의 기록열람․등사권
상소
|
- 페이지 8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익을 침해하는 수사가 강제수사라는 실질설이 다수설임
3) 임의수사의 원칙과 강제수사의 법적 규제
① 형사소송법상 수사는 원칙적으로 임의수사에 의해야 하고, 강제수사는 법률에 규정된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된다는 원칙을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0,400원
- 등록일 2025.04.25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