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관세감면제도의 개요
II. 관세감면제도의 종류
1. 무조건 감면 (관세 감면 또는 관세 면제)
2. 조건부 감면
III. 관세감면의 신청시기 및 신청기관
IV. 사후관리 및 사후관리기관
1. 사후관리
2. 사후관리기관
V. 관세법상 감면 규정
1. 외교관용 물품 등의 면세
2. 세액불균형 물품의 감면세
3. 학술연구용품의 감면세
4. 종교용품, 자선용품, 장애인용품 등의 면세
5. 정부용품 등의 면세
6. 특정물품의 면세
7. 소액물품의 면세
8. 환경오염방지물품 등에 대한 감면세
9. 여행자 휴대품, 이사물품 등의 면세
10. 재수출 면세
11. 재수출 감면세
12. 재수입 면세
13. 손상감세
14. 해외임가공물품 등의 감세
II. 관세감면제도의 종류
1. 무조건 감면 (관세 감면 또는 관세 면제)
2. 조건부 감면
III. 관세감면의 신청시기 및 신청기관
IV. 사후관리 및 사후관리기관
1. 사후관리
2. 사후관리기관
V. 관세법상 감면 규정
1. 외교관용 물품 등의 면세
2. 세액불균형 물품의 감면세
3. 학술연구용품의 감면세
4. 종교용품, 자선용품, 장애인용품 등의 면세
5. 정부용품 등의 면세
6. 특정물품의 면세
7. 소액물품의 면세
8. 환경오염방지물품 등에 대한 감면세
9. 여행자 휴대품, 이사물품 등의 면세
10. 재수출 면세
11. 재수출 감면세
12. 재수입 면세
13. 손상감세
14. 해외임가공물품 등의 감세
본문내용
V. 관세법상 감면 규정
12. 재수입면세
*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물품이 다시 수입되는 경우에 관세를 면제하는 것
*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물품으로서 해외에서 제조. 가공.수리 또는 사용되지 아니하고 수출신고수리일 부터 2년내에 재수입물품 (임대차의 경우나 전시회 등은 예외),
수출물품의 용기로서 다시 수입되는 물품, 해외시험 및 연구목적으로 수출된 후 다시 수입되는 물품
* 수출신고필증으로만 수출된 물품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고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있으면 된다.
* 수출한 물품의 일부가 하자가 발생되어 부분품을 먼저 보내고 부분품을 받는 것도 면세를 신청할 수 있다.
* 수출된 물품으로 처음 수출자와 다른 수입자가 수입해도 재수입면세 가능
12. 재수입면세
*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물품이 다시 수입되는 경우에 관세를 면제하는 것
*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물품으로서 해외에서 제조. 가공.수리 또는 사용되지 아니하고 수출신고수리일 부터 2년내에 재수입물품 (임대차의 경우나 전시회 등은 예외),
수출물품의 용기로서 다시 수입되는 물품, 해외시험 및 연구목적으로 수출된 후 다시 수입되는 물품
* 수출신고필증으로만 수출된 물품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고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있으면 된다.
* 수출한 물품의 일부가 하자가 발생되어 부분품을 먼저 보내고 부분품을 받는 것도 면세를 신청할 수 있다.
* 수출된 물품으로 처음 수출자와 다른 수입자가 수입해도 재수입면세 가능
추천자료
조세제한특례법 개정(법인세 분야)
부가가치세
최저한세에 대하여
지방세에 관하여...
각국의 해운정책과 우리나라의 해운정책
한국 남녀평등과 현실
[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의 전개, 특징, 현황과 전망 및 함의 분석(...
[법인세][법인세부담 공평성][이연법인세회계이론][법인세조사제도 문제점][법인세정책]법인...
FDI 유치정책
세법4C)세법이 헌법의 내용에 맞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형식적 제약에 관하여 설명하시오0K
세법4D)국세기본법 제15조 '신의성실의 원칙'에 관하여 판례가 제시하는 적용요건들을 설명하...
[법률, 법률안검토, 문화재보호법중개]법률과 문화재보호법중개정법률안검토, 법률과 소득세...
소급과세 금지의 원칙
Plea Bargaining(플리 바기닝) 제도 도입에 관한 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