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사의 현직 교육 운영에 관한 현황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의 제한점

2. 이론적배경

1) 현직 교육
2) 유치원 교원 자격 연수 교육 과정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 요약

3.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4.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교사들이 현직 교육의 내용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순위별로 조사한 결과 1 순위에서는 전반적인 유아 교육 생활 지도에 관한 내용 (45.3 %), 2 순위에서는 전반적인 유아 교육 학습 지도에 관한 내용 (34.3 %), 3 순위에서는 교재 교구 제작 및 활용에 관한 내용 (24.3 %), 4 순위에서는 새로운 유아 교육 이론이나 새로운 프로그램 소개에 관한 내용 (27.5 %), 5 순위에서는 부모 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40.3 %)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황은 사회가 변화하면서 부모가 아이들에게 갖는 높은 기대와 사회의 잘못된 방향의 지나친 교육 열기에 의해 천재아 선호 증상이 나타난다거나, 학원 수강이 증가하면서 부모는 아이들을 몰아가고 가정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생활상의 부적응아가 많이 나타남으로 생활 지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공부만 잘하는 인간이 아닌 전인적인 측면에서 발달할 수 있도록 교사는 생활 지도에 좀더 많은 관심과 배려를 할 수 있도록 해야 겠고, 현직 교육 또한 이점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격 연수는 내용 면에서 이론 위주의 형식적 교육에서 벗어나 유아 교육 현장과 직결된 적극적인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미래 지향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대전 지방의 유아 교육 관계자들은 지방이라는 지역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서울 지역의 유아 교육 관계자들과 정기적·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유아 교육의 변화·발전 방향과 새로운 이론이나 실기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대전 지역의 유아 교육 관계자들의 자체적인 연구로 현직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 연수는 개인별·유치원별의 연수 경험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연수받은 시간 수를 누가시켜 학점제를 만들고, 자격 획득시 적용시킴으로써 일정시간 이상을 하도록 이끄는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고 가장 바람직한 연수 주최 기관으로 설정된 유아 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유아 교육에 관한 연구 자료와 부속 유치원을 개방해서 자체 내에서 유아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국가는 재정적인 지원과 이러한 활동을 대학 평가에 반영하는 것과 같은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연수 주최 기관은 유아 교육 현장이 기대하는 연수 내용에 관한 교사 연구와 분석으로 program 계획 수립시 의견 수렴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연구 과정에서 유아 교육 현장의 유치원 관계자들이 사전의 연수 준비 과정이나 연수 후의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서 현장의 기대를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셋째, 자체 집단 연수는 유치원별로 경험의 유무의 차이, 경험 횟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데, 유치원 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접촉을 통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격차를 줄이고 더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국가나 지역 사회의 부조도 얻어내는 능동적인 대처를 필요로 하며 원장이나 원감은 자기 발전의 노력을 해서 유아 교육 전반에 걸친 학식과 경륜을 쌓아 관리자에서 벗어난 장학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의 자질 향상에 기여를 해야 한다.
넷째, 개인 연수가 집단 연수에 비해 부족하므로 교사는 연수에 관한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에 의한 자기 발전이 요구되며, 국가는 관심을 가지고 상위 학력 자격 취득을 할 수 있도록 일반 4 년제 대학의 편입 기회를 확대하고 안내하는 도움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생활 지도의 중요성이 부각되므로 유아 교육 관계자들은 이 부분에 대한 좀더 많은 관심과 배려를 할 수 있어야 하며, 현직 교육도 이점을 염두해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 문헌
김영돈 (1970). 학교 경영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익문사.
김종철 (1970). 교육 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 과학사.
교직 연수의 현황과 문제점, 새교육, 제 310 호 (1980 년 8 월).
나 정 (1995). 유치원 교원 자격 연수 교육 과정 개발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박용헌 (1980). 교원 양성 체제의 모형 정립을 위한 연구.
문교부 학술 조성비에 의한 연구 보고서.
서명원, 박준희, 백현기, 성래운, 함종규 (1972). 교육학 대사전, 서울 : 교육 과학사.
손경란 (1983). 유치원 교사 현직 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미간행).
송충빈. 한국 중등교원 현직 교육의 문제점, 새교육, 제 303 호(1980 년 1 월).
이규환 (1980). 미국의 교사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 문교 월보, 제 34 호. 중앙 교육 행정 연수원.
이연희 (1982). 현직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미간행).
한공우 (1980). 각국의 교원 현직 교육 비교 연구, 제 7 집, (경희대 교육 문제 연구소).
Conant, J.B.(1963). The Education of American Teachers,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De Yung, C.A.(1960). American Education,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Richey, H.G.(1957). "Growth of the Conception of In-Service Education", In-Service Education 56th Year Book, Part I,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Stout, J. B.(1952). "Deficiencies of Begining Teache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3.
Jower, M.(1956). "Orientation and In-Service Practices in Administ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42.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2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