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제고 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제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정의

Ⅲ. 교육의 전문가 되기 위한 교사의 자질

Ⅳ. 전문성 신장을 위한 조건
1. 교과별 또는 업무별 전문성의 기준에 대한 명확한 정의
1-1.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성격
1-2.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근거
1-3. 교사가 가지는 교과별 또는 업무별 전문성의 기준에 대한 정의
1-4. 교직 전문성의 한계
2. 전문성 성장을 위한 동기 부여
2-1.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관련되는 정책적 이슈의 문제점
2-2. 교육정책 문제에 대한 해결책
3. 주기적인 교육 및 연수
3-1. 사례 : 교육 정보화 원격 일반연수
3-2. 연수과정의 개선안
4. 전문성을 개발 및 전문성 수준을 인정하는 자격 체제
4-1. 전문교사자격제
4-2. 수석교사제
4-3. 수습교사제
4-4. 기타 제도들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인 1특기 내지는 특성화 영역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또 교원양성대학의 입학자 선발 과정에서 일정 기간 이상 청소년 단체활동 참가자나 특성화 영역과 관련된 특기 소지자들에게 가산점 부여 등의 제도를 병행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4-2. 수석교사제 현행 직급체계는 교육행정에 종사하는 교육 직원들은 직급체제가 매우 세분화 되어있으나 반면 교육의 주체인 교원들은 3단계(교사 - 교감 - 교장)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같은 제도는 전문성 신장과는 매우 거리가 먼 체제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가르치는 교사의 자긍심을 함양시킴은 물론 교사의 사기진작 및 전문성 신장에 필요한 직급체제가 하루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수석교사제는 교직종합발전안중에 하나로 장기간 교직에 종사한 유능한 교원이 교장-교감으로 승진하지 못하거나 퇴직 시까지 일선교육 담당을 원할 경우 만년 평교사로 대우받는 모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다. 수석교사는 일단 15∼20년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후보자중 교육부가 새로 절차를 마련해 시행할 관련시험이나 추천을 거쳐 선정될 예정이지만 선정절차에 관한 세부규정은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다.
그 방안은 단계화 방안과 다단계화 방안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이 제도에 대해 교원인사제도개선협의회는 순수자격제로의 교수직렬과 관리직렬로 다시 이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교수직렬은 1급 정교사 이후에 선임교사→수석교사로 이어지는 것을 말하며, 관리직렬은 교감→교장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먼저 단계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사 → 교감 → 교장으로 이어지는 행정직 우대의 현행 교원 직급 체계를 대학교수와 유사한 전문직 구조로 즉,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수석교사로의 개편 또는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로 개편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
다음은 다단계화 하는 방안이다.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교감 →교장으로 이어지는 교육행정 중심의 직급체제와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수석교사 또는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로 이어지는 전문교사 자격체제의 이원화 구조로의 개편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석교사제는 교원인사제도개선협의회의 교원자격 다단계화 차원에서 유일하게 제기되는 정책 대안이라는 점과, 전교조를 제외한 두 교원단체(교총, 한교조), 학부모단체 모두 합의한 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학부모단체들은 수석교사제가 상위 직급이 아닌 순수 전문자격제를 전제로 도입에 찬성했다.
전문성 수준을 인정하는 자격 및 직급 체계의 수립은 교사의 자긍심과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 제도가 시행된다면 일선교육을 원하는 교사는 행정관리직(교감, 교장으로 승진)대신 수석교사로 승진, 교직경력에 부합하는 지위를 보장받고 사회적 신분도 인정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4-3. 수습교사제
수습교사제는 수습기간 중 교육훈련 성적이 나쁘거나 교사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면직하는 것으로 99년부터 신규임용교사의 경우 계약직으로 채용한 뒤 1년간 수습으로 근무, 교육성적 훈련이 나쁘거나 교사로서 적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면직하는 수습교사제를 시행하려 하였으나 결국은 시행되지 않은 제도이다.
공무원은 "철밥통"이라는 인식을 깰 수 있으며 신입교사의 노력을 부추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른바 부적격교사 퇴출과 마찬가지로 교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등 단점이 있어서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크기에 도입의 필요성은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4-4. 기타 제도들
교원인사제도개선협의회는 현행 교장승진임용제도를 보완하고, 초빙제, 공모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정책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이 중 동료교사 다면평가를 도입해 현행 승진임용제도를 개선하면서, 교장 자격증이 없는 교원에게도 일정 비율 교장 공모 기회를 주는 방안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이외에도 ①동료교사 다면평가를 도입하고 해당 지역 근무 제한 없는 교장초빙제 도입(교장자격증 소지자 대상)과 ②교장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하는 현 승진임용제를 폐지하고 초빙제, 공모제, 추천제, 선출제를 병행하는 방안 등도 소수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상의 대안들은 기존의 교장승진제도의 단점들을 고칠 수 있는 방안들이나 교장 자격증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점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아 앞으로 적지 않은 논란이 야기될 전망이다.
Ⅴ. 나가는 말
지금까지 우리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을 말하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의 자질과 교사가 지니고 있는 전문성을 살려 교사가 가진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 방안의 구체적 대책으로는 교사 스스로의 내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연수와 지위를 부여하여 전문성을 돋보이게 하는 자격 및 직급체계의 수립이 있었다.
한 국가의 발전은 교육의 질에 달려 있고, 교육의 질은 현장교육 전문가인 교사의 질을 능가 할 수 없다고 한다. 교사의 질 향상은 교사들의 지속적인 연찬과 연구로 가능하게 될 것이며 그로써 우리의 공교육도 살아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교사는 전문직으로써 그 자격을 얻게 되기까지는 힘든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힘든 과정을 뚫은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인재들이 꼭 우수한 교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끊임없는 양질의 교육을 통해 자신을 개발하고 키워나가면서 전문성을 더욱더 신장시켜 나갈 때 교사 자신은 물론이고, 그 교육을 받는 학생과 그 아동을 밑거름으로 발전해나가는 우리나라도 크게 성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인애 김호영,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 서울:경희대학교부설 교 육문제연구소, 1998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아태지역의 교원 정보화교육, 서울:한국교육 학술정보원, 1999
강원근, 21세기의 교원연수체제, 서울:한국교원교육학회, 2000
이옥화 임연욱, ICT활용교육 관련 교사연수현황 및 개선방향, 충북: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03
http://www.goodteacher.org/technote/read.cgi?board=jaryo-jungchak&y_number=20&nnew=2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5.0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