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습법, 판례, 조리의 법원성)
I. 서설
1. 법원의 개념
2. 민법 제1조의 내용
II. 법률의 법원성
1. 법원으로서의 법률의 모습
2. 조례의 법원성
III. 관습법의 법원성
1. 관습법의 의의
2.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
(1)의의
(2)관습법에 국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다.
[ 해 설 ] 동 판례에 대하여 이영준 294면은, 「사실적 상관습은 당사자의 주장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법원이 이를 심사할 수 있다」는 기존의 판례(대판 59.5.28. 4291민상1)와도 일치하지 않으며, 사실인 관습은 법률행위의 해석의 기준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습법에 대하여 수정적, 창조적 작용을 하면 이에 대하여 법원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도 있다.(정찬형) 우리나라의 경우 종전의 판례와 다른 판결을 할 수 있고 이것이 상고의 이유가 되지 않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상사판례의 법원성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습법
(3) 조리의 법원성 : 긍정설(다수설 판례)
(4) 관습법에 관한 주요판례
(5) 사실인 관습
(6)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의 비교
3. 신의성실의 원칙
(1) 의 의
(2) 적용영역
(3) 기 능
(4) 위반의 효과
(5) 파생원칙
(6) 관련지문
4. 권리남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습은 법규범성을 갖고, 그보다 약한 임의규정에 반하는 관습을 의사해석의 자료에 불과하다는 것은 균형이 잡히지 않는다.
② 사실인 관습도 임의법규에 우선하여 해석의 기준이 되어, 이것에 의한 재판이 결과적으로는 당사자의 권리의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