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정론에서는 퇴계가 애매모호하고 고봉은 명쾌하였으며, 논증과정에서 고봉이 월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마무리
사단칠정논쟁을 기대승 축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대승은 비록 입설 자체의 완성도는 떨어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단칠정 논쟁은 본격적으로 주자학이 수입되어 연구된 결과 주자학 자체가 지니고 있던 문제점이 노출되어 재정리하는 입장에서 논쟁을 전개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조선 주자학의 전개 양상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쟁을 통해 주자학의 기본 주제인 이기론과 심성론을 결합시킴으로써 중국 주자학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독자성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이다. Ⅰ. 서론
Ⅱ. 본론
1.이기론
1)이와 기의 정의
2)이와 기의 관계
3)이기론
2.사단칠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과 일치시켰다.
학문경향
주자의 학설을 정통으로 계승,발전
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중시
경세론, 언로 확충에 입각한 위민 사상
영향
조선 성리학의 주류 형성
실학 사상에 영향
토론해봅시다.
1> 사단칠정 논쟁이 시작된 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논쟁
(1) 기본개념정리
(2) 발단
(3) 전개 및 중심내용
1. 1차 논쟁
※ 정리
2. 2차 논쟁
※ 정리
3. 3차 논쟁
※ 정리
(4) 결말
(5) 의의
2. 현대적 의의
(1) 수직적 관계, 수평적 관계에 대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 논쟁이 깊은 사유를 통한 인간 본성을 다룬 위대한 토론이였고 조선의 높은 사회,문화적 수준을 보여준 사건이라고 중·고등학교 학창 시절부터 배워왔던 기억이 났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런 중요한 사건을 단순히 이(理)와 기(氣)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20.11.2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 칠정 논쟁의 재해석 : 이황 이론의 성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reinterpretation Four budding - seven emotions debate
허원, 울산대학교,[2010] [국내석사]
17세기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기용사(氣用事)\" 논변을 중심으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0.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칠정의 발은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사단지발순리고무불선 칠정지발겸기고유선악)라고 제시하면서 고봉에게 의견을 묻는 편지를 보냈던 것이 8년에 걸친 퇴계와 고봉 사이에 벌어진 사칠논쟁의 발단이 되었던 것이다. 퇴계는『주자언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타지 않는 것입니다. 이 말의 뜻은 병통이 없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의심이 없을 수 없는 것입니다. 만약 사단(四端)이 순수하게 이(理)에서 발하여 선 (善)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七情)의 발출은 기(氣)를 겸하여 선악(善惡)의 구 별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20.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과 칠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단은 이에서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면서, 성혼과 이이 사이에 다시 사단칠정논쟁이 벌어졌다. 성혼의 이러한 견해에 대해 이이는 인심·도심의 구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