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유취득시효의 원칙
1. 제1원칙 (대판 1993. 5. 25. 선고 92다51280 판결)
2. 제2원칙 (대판 1989. 4. 11. 선고 88다카5843 판결)
3. 제3원칙 (대판 1964. 6. 9. 선고 63다1129 판결)
4. 제4원칙 (대판 1965. 4. 6. 선고 65다170 판결)
Ⅳ. 대법원의 판단
1. 다수의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법원 태도가 주목된다 할 것이다. 적어도 本案에 대하여 應訴行爲를 하여 이것이 받아들여진 경우 시효가 중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로 일본판례도 이 전원합의체판결과 마찬가지의 태도이다. 한편 독일민법은 제209조 제1항에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황병돈,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2.
김덕중, 명의신탁 부동산을 임의처분한 명의수탁자의 형사책임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원법학, 2012. 1. 중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0.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경이 객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고 한다.
_ 그에 비하여 판례는 이 문제에 관하여는 아무런 원칙도 밝히고 있지 않다.
_ 생각건대, 자주점유로부터 타주점유로의 전환의 경우에도 타주점유로부터 자주점유로의 전환에 관한에 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면에서 위와 같은 판결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Ⅰ. 쟁점
Ⅱ. 중복등기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의 입장
Ⅲ. 중복등기로서 무효인 후등기도 위 법 조항 소정의 `등기`에 해당하는
지 여부
Ⅴ. 이 판결의 의의
Ⅳ. 관련문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